전영재 기자의 DMZ로 떠나는 생태기행
전방어디를 가나 군사 보급로가 나지 않고 군인들의 발길이 안 닿은 곳은 없다.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기 전인 1970년대까지만 해도 비무장지대와 민통선의 자연 환경은 우리 병사들에 의해 훼손됐다.

  전방 철책선 어디를 가나 민간인의 발길은 끊겼지만 군인의 발길은 분단이 후에도 계속돼 왔다.
그러나 그 군인들의 왕성한 인구활동은 인구 센서스에 잡히지 않는다.
실제 강원도 양구군의 인구는 2만 4천명 선에 불과하다.
그러나 양구군의 인구 센서스 상황은 실제 양구군 인구보다 많은 양구지역 주둔 병력(전후방 포함) 3만명이 포함돼 있지 않다.
이 3만명의 인구는 자야하고 먹어야 하고 씻어야하고, 쓰레기를 배출해 왔다.


비무장 지대를 취재하면서 군생활을 30년 이상한 사단의 주임 원사들은 힘들었던 군시절을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연료가 부족했던 시절 대부분 전방에서는 초소주변에 있는 나무를 땔감으로 이용했다.
더구나 철책을 하기 전에는 대부분 남쪽 지역도 나무로 방책선을 만들었기 때문에 주변에 쓸만한 나무를 모두 베어다 목책을 보수했다고 한다.
대암산은 아름드리가 넘는 주목 군락지였지만 지금은 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을 산다는 주목을 보기가 쉽지 않다.
주목 탁자를 만들고 피나무 바둑판을 만들면서 이 땅의 귀한 나무들이 벌목으로 사라진 것이다.
동해안에서부터 고성, 인제, 양구, 화천, 철원, 연천, 파주, 강화에 이르는 지역을 행정용어로 '접경지역'이라고 한다.
이 접경지역의 주둔 병력은 양구군의 3만명의 병력이 인구 센서스에 포함돼 있지 않듯 모든 지역의 병력은 왕성한 인구 활동에도 불구하고 인구 센서스에 포함돼 있지 않다.

함광복 강원도민일보 논설위원은 이를 'DMZ의 숨은인구'라고 정의했다.
특히 이 접경지역에서는 숨은 인구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고 했다.
상수공급, 하수처리, 전력공급, 심지어 분뇨 발생량과 처리량에 이르기까지 철저하게 감춰져 있다.
이같은 숨은 인구는 DMZ에 밀집될 수밖에 없다.
군인의 작전은 크든 작든 자연과의 싸움이다.
고지에 군사 보급로를 내야 하고 벙커를 구축해야 하며 사계(射界)를 확보하기 위해 시야를 가리는 숲을 제거해야 한다.
민간인보다 더욱 왕성한 인구활동이 반세기 가까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북한군도 비무장지대 근처에서 왕성한 인구활동을 벌이고 있다.
김일성 주석이 사망했을 때 북한군지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7월 인민군 병사들은 강으로 내려와 물놀이를 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었다.
때론 물고기 잡는 모습도 관찰이 됐고 북한군 병사들은 식량을 대부분 전방지역에서 농사를 지어 확보하기 때문에 옥수수나 벼농사를 짓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
북한도 병력을 전선인 비무장지대로 전진 배치해 왔고 취사나 난방 연료마저 주둔지에서 조달하고 있는 왕성한 인구활동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북한 전방 부대 주변에는 집단 영농 형식의 주둔지 영농방법인 원시적인 방법을 그대로 도입하고 있어서 화전이 보편화된 지역도 있다고 한다.

북쪽 DMZ의 자연은 크게 파괴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DMZ의 자연은 휴전을 기점으로 인간간섭도 중지됨으로써 보호돼온 자연으로 볼 수 없다고 함광복 위원은 쐐기를 박았다.

  전방비무장지대의 지금 고민거리는 식수 확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생활 문화가 바뀌면서 전방 군장병들의 물 사용량도 크게 늘어났다.
전방의 장병들도 샤워는 해야 나라를 지킨다.
전방 부대마다 보급된 복지의 표상인 대형 세탁기도 세제의 사용량을 가중시켜 왔다.
고지에 세탁기는 보급됐지만 아직 오폐수 정화 시설이 보급돼 있지는 않다.
동해에서 서해까지 이어지는 철책선 모든 소초에서 하루 발생하는 오폐수의 양은 정확한 통계가 없다.
더구나 전방에 근무하는 장병들의 목욕한 물과 세탁한 물, 식사 준비 등에서 나오는 오폐수는

반세기 동안 고스란히 대부분 1급수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 이미 오염된지 오래다.
전방의 행정보급관들도 하천의 오염에 대해 안타까워하고 있다.
그리고 오염의 근거를 열목어 같은 1급수에 사는 물고기가 관찰되지 않는 구체적인 증거로 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