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무장지대와 민통선은 지금 기로에 서있다. 그 동안 잠자고 있던 개발 욕구들이 남북 정상회담이후에 꿈틀대고 있기 때문이다. 평화 신도시나 물류기지가 들어서는 후보지로 거론되거나 금강산 육로관광 얘기가 나오자 그 해당지역은 평당 돈 만원하든 논값이 벌써부터 서너배로 크게 오르고 있다. |
||
그러나 남과 북의 인적, 물적교류는 피할 수 없는 일이지만 분단의 대가로 얻은 귀중한 자연생태계는
남북의 교류 못지 않게 보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을 모두가 느껴야 한다. 그러나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법칙을 우린 남과 북의 인적, 물적 교류에서 찾아내야 한다. 그동안 현장취재를 통해 확인한 비무장지대 자연생태계 가운데 다음 지역은 통일이 돼도 핵심지역으로 분류해 최소한의 인간 간섭을 배제해야 하는 지역이다. 더구나 생태철학이나 생태윤리가 도입된 개념으로 지켜야 하는 곳이다. 먼저 동해에서부터 살펴보자. |
||
1. 금강산 감호 습지 감호지역은 낮은 분지지형이 만들어 낸 습지이다 특히 높은 산림 계곡으로부터 저지대로 내려오는 물이 감호에 머무르면서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를 형성했다, 또한 이 곳은 동해안 바닷가와 인접하여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아 득특한 기후를 형성하고 있으며 민물과 동해가 만나는 비무장지대의 유일한 석호이기도 하다. 현재 금강산 육로 관광이 이 지역으로 관통할 예정이어서 남북한이 감호 생태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노선 조정이 시급한 실정이다. 2. 남강 금강산 남강은 동해로 흐르는 유일한 DMZ 강이다 . 이곳에는 연어가 산다. 동해안에서 가장 긴 강인 남강은 중류 부근에서 군사분계선으로 남과 북을 가로질러 비무장지대를 넘어 흐르고 있다. 해마다 11월 초순이면 동해안 최북단 명파천은 북태평양에서 시작된 1만여킬로미터에 이르는 기나긴 여행을 마친 연어의 종착점이 된다. 어린 치어가 남북의 DMZ를 흐르는 남강을 떠나 4년간이나 외국의 바다에서 나가 성어가 된 연어들이 이제 자신이 태어난 곳을 찾아 산란을 위해 찾아오는 곳이기도 하다. 10월, 찬바람이 불면 연어들은 산란터를 잡고 암수가 사랑을 하느라 시간가는 줄 모른다. 3. 향로봉지역 향로봉 주변은 험준한 산악지역인데다 대부분이 비무장지대 및 민통선지역으로서 자연 생태계가 잘 보존돼 있다. 더구나 야생동식물이 많이 살고 있는 서식지이다. |
||
향로봉과 건봉산 일대는 잘 보존된 식생으로 인해 1973년 문화재 관리법에 따라 천연기념물 247호로 2,520만평이
지정됐다. 특히 이 지역은 남한의 설악산과 북한의 금강산을 잇는 생태통로의 역할을 하는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며 그 가운데 칠절봉에서 향로봉은 설악산과 금강산 사이에 있는 백두대간의 한 부분이다. 4. 산양 서식 지역 -고성 오소동 계곡, 고진동 계곡, 인제군 서화면 사철리 지역, 양구 두타연 지역, 천미리 지역을 들 수 있다. |
||
|
||
나던 세계 희귀조 호사비오리 5마리가 지난 92년부터 한탄강지역을 찾아와 겨울을 나고 있다. 이밖에 2000년에는 전세계에 3천마리밖에 없는 시베리아 흰두루미 성조와 새끼 한 마리가 찾아와 겨울을 났으며 검은목 두루미 한 쌍과 흑두루미 한 쌍이 철원 민통선에서 월동을 했다. 철원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현재 대부분 비무장지대 안쪽에 자리잡고 있어 천연기념물 서식지역으로 지정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