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재 기자의 DMZ로 떠나는 생태기행
접경지역은 행정용어로 동해안에서부터 고성,인제,양구,화천,철원,연천,파주 강화에 이르는 휴전선을 따라 인접한 지역을 말한다.
이 지역은 다른 지역과 다른 것이 한결같이 북쪽으로 민간인 통제선이 지나가고 그 안에 드넓은 옥토가 지뢰밭 속에 묻혀 있는 지역을 말한다.

전국 팔도 가운데 접경지역은 강원도와 강원도 두 곳 뿐이다.

  이 강원도와 경기도는 요즘 개발 사업에 부풀어 있다. 더구나 2천 2년 지방 선거를 앞두고 그동안 상대적인 개발 낙후상태에 있던 자치단체들은 접경지역 종합개발 계획을 세우느라 한마디로 정신이 없다.

우선 강원도에서 제기되고 있는 부문이 남북교류를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교통망 구축을 들고 있다.
또한 생태관광의 실현과 주민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세부 교통망 확충도 제기되고 있다.
남북 농업교류 및 협력단지 조성과 철원에 남북 교류 물류 거점을 확보하기 위해 권역별 물류 유통단지 건설 계획 방안도 심도 있게 현재 논의되고 있다.


강원도가 공청회를 통해 마련한 접경 지역 계획안은 평화기반 핵심 전력 사업과 남북 공동 프로젝트로 추진할 사업으로 남북 철원군 협력사업추진을 비롯해 철원 남북교류 협력단지 조성, 남북 관광센터, 평화프라자 조성사업, 철원 물류기지 조성사업, 철원 지방 산업단지 조성사업 등 철원지역만 2천 1년부터 2천 11년까지 모두 60억원의 국비와 지방비를 투입하는 것으로 돼있다.
물론 이 예산에 사업비가 계상되지 않은 것을 감안하면 어마어마한 사업이다.

또한 양구군에서는 펀치볼 통일농장 조성, 인제군에서는 DMZ 평화생명마을 조성사업과 평화 생명마을 배후도시 조성사업에 181억원의 예산을 뽑아 놓았다.

고성지역에서는 '평화의 문 ' 건립과 남북 교류센터 건립 등 350억원의 예산을 들여 건설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이 나와 있다.
지금 강원도는 50년동안 분단 때문에 겪었던 접경지역의 설움을 통일시대를 맞아 전초기지로 가기 위한 개발의 꿈을 꾸며 2천 3년부터 2천 11년까지 모두 9조 967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낙후된 접경지역을 개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경기도 2청은 경기 북부지역의 접경지역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행정절차를 2천 2년까지 마무리 한 뒤 10조원을 투입해 2천 3년부터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핵심전략사업에는 평화 관광로 개설, 정보화 소외지역의 초고속 통신망 구축, 남북 교류 협력단지 조성, 첨단산업단지 조성, 대학유치 등 대형 사업들이 포함돼 있다.
광역사업으로는 비무장지대 DMZ 자연 탐방로 조성사업, 판문점 관광정비사업 등이 있다.

이런 강원도와 경기도의 계획안은 2천 3년에 접경지역 정책 심의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 최종 확정된다.

  그러나 이모든 것들도 사실 따지고 보면 한반도의 허리를 가로지르는 비무장지대와 그 남쪽에서 3킬로미터 거리의 민간인 통제구역을 대상으로 한 개발계획이어서 그 개발바람 때문에 몸살을 앓을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환경단체들은 비무장지대 일대 개발 움직임의 물꼬를 튼 접경지역 지원법을 악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난개발이 불보듯 뻔하다는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