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재 기자의 DMZ로 떠나는 생태기행
말라리아는 전세계적으로 발생하며 모든 감염질환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유병률(有病率)이 높은 질병이다.
해마다 환자수는 전세계적으로 1억에서 2억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려사’를 보면 '예종 17년(1127년) 12월에 학질이 창궐,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고 기록돼 있어 우리나라도 오랜 말라리아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학질이라고 불렸던 말라리아가 사라진지 27년만에 대공습이 시작된 것은 1994년이다.
1994년도, 전방지역에서 전역한 장병들이 말라리아 모기에 감염돼 병원에 잇따라 입원하는 사태가 벌어진다.
1995년도에도 말라리아 감염환자는 이어졌다.
1996년도에 발생한 말라리아 모기 감염환자는 모두 356명에 달했다
방역당국에서 역학조사를 하니 대부분 경기도 연천과 철원 등 전방지역이었다.
괴질로 불리는 말라리아 모기가 DMZ에 창궐하고 있는 것이다.


접경지역 민간인의 감염도 1997년에는 말라리아 환자가 1996년보다 다섯배 가까운 1,724명,1998년에는 3,932명, 1999년에는 3,621명, 2000년에는 4142명으로 급증했다.

국립보건원은 말라리아 환자가 급증하자 2천 1년 말라리아 유행지역으로 강원도 철원군을 비롯해 고성군과 화천군, 경기도 동두천시와 파주시, 포천군과 연천군 인천의 동구와 중구 서구 옹진군과 강화군 등 전국 17개 시군구를 '말라리아 유행지역'으로 지정하고 주민들에게 모기에게 물리지 않을 것을 당부한다.

국방부도 장병들에게 모기 출현시기인 6월 여름철부터 경계 근무시 긴 옷과 약품처리된 옷을 입도록 긴급조치를 내리게 된다.
국방부가 시달한 말라리아 예방관리대책에 따라 말라리아 발생위험 전방지역 근무장병들에게 예방활동이 1일부터 주1회 방역소독 활동으로 시작된데 이어 해당지역 장병들은 6월부터는 클로로퀸과 마퀸 등 예방약품을 복용하고 잔류성 살충제 처리 전투복을 착용해야 한다.

군은 말라리아 발생 이후 억제하기 위해 수년간 적극적인 예방활동을 펴왔으나 그럼에도 환자발생이 크게 늘어나자 이는 장병들이 말라리아에 대한 인식부족과 예방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지 않은 데서 온 결과였다는 자체 분석을 내리고 말라리아와의 힘겨운 전쟁을 벌이고 있다.

전염원인 말라리아모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역소독 활동과 함께 장병 또한 예방약의 올바른 복용과 잔류성 살충제 처리 전투복 착용 등 개인 예방활동을 철저히 이행하도록 긴급 지시를 내렸다.
장병들의 예방약은 '클로로퀸'과 '프리마퀸' 두가지. 장병들은 우선 6월7일부터 10월까지 매주 월요일 클로로퀸을 19주 동안 4정씩 복용하고 이어 클로로퀸을 다 복용한 다음날부터 14일간 프리마퀸을 매일 한차례 1정씩 복용해야만 한다.

휴가중이거나 훈련참가중 또는 전역한 장병들도 필요량만큼의 약을 계속 복용해야 하며 훈련 또는 작업을 위해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출입하는 장병들은 출입 1주일 전부터 출입후 4주간 동안 클로로퀸을 복용하고 이후엔 14일간 '프리마퀸'을 먹어야 한다는 지침을 내리고 실천하도록 지시했다.

두가지 약을 시기를 달리해 먹어야 하는 이유가 있다.
그것은 사람이 말라리아모기의 공격을 받으면 말라리아 원충이 혈액을 따라 간으로 들어가 간에서 잠복(2주~1년간)하게 되고 이 기간을 거쳐 원충의 일부가 혈액 속으로 나와서 증식, 발열증상을 유발케 되는데 이때 '클로로퀸'은 혈액내 원충에 작용하고 '프리마퀸'은 간 내의 원충에 작용하기 때문인 것이다.

또한 6월20일부터 착용할 전투복에 처리되는 '퍼머린스' 복합제는 피복 잔류성 살충제로서 모기에 대한 살충력이 뛰어나다.
그러나 이 특수처리 전투복에 의한 모기 방호효과는 전투복에 의해 완전히 덮이는 신체부위에만 유효 하다. 따라서 야간 근무시 전투복의 팔소매를 내리고 모기기피제(바르는 모기약)를 바르는 일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하며 방충두건과 모기장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더욱이 장마가 끝나는 8월이 다가오면 서부전선에는 `말라리아와의 전쟁'이 더욱 치열하게 벌어진다.
말라리아 발병률이 전국 최고인 경기도 연천, 파주 등의 비무장지대를 경계하는 장병들은 마치 화생방전에 나선 것처럼 `중무장'을 해야한다.

우선 철모 위로 벌 치는 사람처럼 방충두건을 쓰고, 6주 동안 살충효과가 지속되는 퍼머스린에 적셨다 말린 전투복을 입는다.
소매를 손목까지 내리는 것은 물론 바지자락을 구두 밑창 부근까지 내린 뒤 발목을 고무밴드로 묶어 빈틈을 막는다. 그래도 노출되는 손과 목에는 2시간마다 모기약을 바른다.

초소의 출입구는 물론 총안구에도 방충망을 치고 초소안에는 모기향을 피운다.
말라리아 환자발생의 가장 큰 특징은 비무장지대 부근에서 집중되며, 자연히 현역 및 전역군인에게 많다는 사실이다. 또한 최근 들어 군인에서 민간인으로, 비무장지대에서 전국으로 발생범위가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말라리아 방역이 허술한 북한의 방역체계 확립 없이는 말라리아 퇴치가 어렵다고 보고 세계 보건기구인 WHO를 통해 북한의 말라

  리아 방역을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1994년 경기도 파주와 김포에서 발생한 말라리아 집단 발병은 27년만의 일이다.
조사결과 이들 병원균은 북한에서 흘러 들어왔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 됐을 뿐 가로 막힌 철책 때문에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 광견병과 말라리아의 DMZ에서의 시대를 초월한 등장은 비무장지대의 법정 전염병 바이러스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더구나 남한에서는 사라졌을 것이라고 믿었던 이들 법정 전염병이 다시 창궐하면서 DMZ의 전염병 방역체계가 남북한이 힘을 합쳐 당장 시행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