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무장지대 DMZ는 분단의 세월이 50년이 되면서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야생동식물의 보고로 변하면서 세계적인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
한국의 생물 다양성과 생태학의 귀중한 자원이 되고 있어 어쩌면 국내보다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지도 모른다. |
||
보존과 평화적 이용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이 유네스코 접경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971년 유네스코가 설립한 MAB(Man and Biosphere Programme)은 생물권 보존지역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정부간 프로그램이다. 동식물, 대기 해안의 자연뿐 아니라 인간을 포함한 전체로서의 생물권에 인간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전세계가 함께 일하고자 출범했다. 현재 전세계 120여개국이 참여하는 국제적인 프로그램이다. 생물권 보전지역은 첫째 생물 다양성 보전의 범위와 타당성의 증대 두 번째 지역 주민과 생태계의 조화로운 공존 보장 세 번째 기초,응용 연구자들에게 영구적인 현장 영구지 제공 등을 목적을 지향하고 있다.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면 국내법에 의해 관리하되 3가지 기능을 통합해 지역적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발전과 보존을 위한 접근법을 모색하고 제시하기에 적합한 지역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1) 보전(Conservation) 경관과 생태계, 종, 유전적 변이의 보전에 기여 2) 발전(Development) 사회, 문화적으로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 인간발전을 촉진 3) 지원(Logistic Support) 지방·지역·국가·지구 차원에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보존 문제에 관련된 시범 사업과 환경교육, 훈련 연구와 모니터링을 지원 생물권 보전 지역의 기본요소는 3가지 지역으로 구분되어 각 지역에 맞는 이용 계획을 수립해 관리하도록 돼 있다. |
||
) 핵심지역(CORE AREA)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최소한으로 교란된 생태계의 모니터링, 파괴적이지 않은 조사연구와 영향을 적게 주는 이용 등을 할 수 있는 엄격히 보호되는 하나 또는 여러 개 지역 2)완충지역(BUFFER ZONE) 핵심지역을 둘러싸고 있거나 그것에 인접해 있으면서 환경교육, 레크리에이션, 생태관광, 기초 연구 및 응용연구 등의 건전한 생태적 활동에 적합한 협력활동을 위해 이용되는 지역. 3) 전이지역 또는 협력지역(FLXIBLE TRANSITION AREA, AREA OF CO-OPERATION) 다양한 농업활동과 주거지, 기타 다른 용도로 이용되면 지역의 자원을 함께 관리하고 지속가능한 |
||
|
||
접경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면 국제적인 관심은 더욱 높아질 것이고 남북이 평화구축으로 함께 나아가겠다는 전세계에
천명하는 평화 선언이 될 수 있다. 더구나 반세기 넘게 살아온 갈라져 살아온 한민족이 다시 어우러져 살겠다는 통일의 지 천명과 함께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하는 풍요로운 땅을 만들겠다는 환경 복지국가로서의 이미지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국내적으로는 접경지역 주민들의 통일에 대한 기대 이익에 부응할 수 있는 방안은 물론 분단의 대가로 얻은 귀중한 자연생태계를 보존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